경기도 공공 심야약국 현황과 운영 방법, 운영 기준과 지정 방식 등 총정리(2025년 최신)


경기도 공공 심야약국 현황과 운영 방법, 운영 기준과 지정 방식 등 총정리

경기도 공공심야약국의 운영현황·지정기준·신청절차·법령 근거를 압축 정리
경기도에는 약사법에 근거하여 30개 시군 72개소의 공공 심야약국이 상시 운영되고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2025년 최신 정보를 기준으로 광주광역시 공공 심야약국의 신청·지정 절차, 운영 기준과 현황까지 정리했습니다.
출처 - 대한약사회
🟡 1. 핵심 요약

경기도는 2025년 기준 전국 최다 규모의 공공 심야약국을 운영 중. 전국 266여 개 공공 심야약국이 2025년 정부 사업으로 통합 시행 중. 시민들이 22:00~06:00 시간대에도 안전하게 의약품을 구입하고 복약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지정·운영.

심야 의약품 접근성 국비+도비 지원 도민 건강 안전

🔵 2. 지정 기준·규모
  • 접근성 기준 : 대중교통 편의성, 주거밀집지역, 의료기관 인근
  • 인력 기준 : 약사 상시 배치, 심야 운영 경험, 안전관리 체계
  • 시설 기준 : 조제실 완비, 냉장보관시설, 응급약품 구비
  • 현재 규모 : 경기도 전역 다수 운영 (정확한 개수는 보건소별 상이)
  • 재원 구조 : 국비 50% + 도비 25% + 시군비 25%
출처 - 경기도
🟢 3. 운영 시간·서비스
  • 평일 운영 : 22:00 ~ 06:00 (8시간)
  • 주말·공휴일 : 22:00 ~ 06:00 연장 운영
  • 제공 서비스 :
    • 처방전 조제 및 복약지도
    • 일반의약품 판매 (해열제, 감기약 등)
    • 응급 의약품 제공
    • 약물상담 및 복용법 안내
  • 목적 : 응급실 외 야간 의약품 접근 경로 확보, 의료 사각지대 해소

🧭 4. 지정 절차·신청 흐름
  1. 공모 공고 : 시군 보건소별 연 1-2회 공개 모집
  2. 신청 접수 : 약국개설자가 구비서류와 함께 신청
  3. 현장 평가 : 접근성·시설·인력 종합 심사
  4. 선정 심의 : 지역보건의료심의위원회 심의
  5. 지정 확정 : 약국 지정 및 운영 협약 체결
  6. 운영 개시 : 운영비 지원 후 심야 서비스 시작
📐 5. 한눈에 표
구분 내용
지정기준접근성·약사인력·시설기준 충족
운영시간22:00 ~ 06:00 (8시간)
제공서비스조제·판매·복약지도·상담
재원구조국비50%+도비25%+시군비25%
신청주체약국개설자(약사)
선정방식공개모집·심의위원회 심사
🔥 6. 최신 핫 뉴스
❓ 7. FAQ

Q. 경기도 공공심야약국은 몇 개가 운영 중인가요?
→ 경기도는 전국 220여 개 중 상당 비율을 차지하며, 시군별로 1-5개소씩 운영 중입니다.

Q. 일반 약국과 공공심야약국의 차이는 무엇인가요?
→ 공공심야약국은 정부 지원을 받아 22시-06시 심야시간 의무 운영하며, 응급약품을 상시 구비해야 합니다.

Q. 처방전 없이도 약을 살 수 있나요?
→ 일반의약품(해열제, 감기약 등)은 처방전 없이 구매 가능하나, 전문의약품은 처방전이 필요합니다.

Q. 공공심야약국 지정 신청은 언제 하나요?
→ 시군 보건소별로 연 1-2회 공모하므로, 관할 보건소 홈페이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.

📋 8. 관련 법령